자료형과 변수
자료형: 숫자,문자,불 자료형
▶ 숫자 자료형 : 5, -10, 30, 3.14, 10000
▶ 문자열 자료형 : '나비', "강아지", "파이썬"
▶ 불 자료형 : True, False
1. 숫자 : 정수형, 실수형
- print(-10)
- print(3.14)
- print(10000)
- print(5+3)
- print(3/3)
- print(3*(3+1))
2. 문자 : 큰따옴표(" ")와 작은따옴표(' ')로 구성할 수 있다.
- print("노란나비")
- print('풍선')
- print("나는 코딩을 좋아합니다.")
- print("파이썬"*3)
- print("나는 책 중에서 '코딩'관련 책을 굉장히 좋아합니다.")
- print('좋아하는 명언 중 "시간은 금이다"라는 문구가 있습니다.')
→ 작은따옴표를 출력하고 싶을 때는 문장을 큰 따옴표로 감쌈
→큰 따옴표를 출력하고 싶을 때는 문장을 작은 따옴표로 감쌈
3. 불자료형 : 네와 아니오 참과 거짓으로만 구성
- print(5>10) False
- print(10<20) True
- print(not True)
- print(not False)
4. 변수 : 값을 저장하는 공간
▶ 형식 변수명 = 값
- age =30
- name ="홍길동"
- print(name,age)
- print("저의 이름은",name,"이고", "나이는",age,"입니다.") 쉼표로 연결할 경우 - 값과 값 사이에 빈칸이 하나 포함
- print("저의 이름은"+name+"이고"+ "나이는"+str(age)+"입니다.") +로 연결할 경우 자료형이 같지 않다면 형변환을 함
<실습>
customer = "김지아"
status_1 = "상품 준비"
status_2 = "배송 중"
status_3 = "배송 완료"
print("{0} 고객님의 주문상태는 {1} 입니다.".format(customer, status_1))
print(f"{customer} 고객님의 주문상태는 {status_2} 입니다.")
print(customer+ " 고객님의 주문상태는 "+status_3+"입니다.")
문자 포맷팅
방법1 문자 + 문자
방법2 문자+str(숫자)
방법3 f를 사용하여 print(f"{customer} 고객님의 주문상태는 {status_1}입니다")
방법4 format를 사용할 경우 print("{0} 고객님의 주문상태는 {1}입니다".format(customer, status_1))
5. 형변환하기
- str() : 값을 문자열로 형변환
- int() : 값을 정수형으로 형변환
- print(int("3")
- print(int(3.5))
- print(float("3.5")
- print(float(3))
- print(str(3) + "입니다.")
- print(str(3.5) + "입니다.")
6. type() : 자료형의 형태를 알 수 있다
print(type(3))
print(type("안녕"))
print(type(3.14))
print(type(str(4)))
실행결과
<class 'int'>
<class 'str'>
<class 'float'>
<class 'str'>
7. 변수를 사용할 때 유의할 점
- 변수는 사용하기 전 정의
- 변수는 사용하게 되면 마지막으로 저장한 값을 사용
- 이름지정이 잘못될 경우 오류발생
※ 변수명 사용규칙
- 변수명에는 소문자(a~z), 대문자(A~Z), 숫자(0~9), 언더바를 사용
- 변수명은 대소문자 구별(예를 들어 Ace, ace, ACe 서로 다르게 인식
- 변수명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고, 소문자, 대문자, 언더바로 시작
- 키워드(파이썬에서 사용이 예약된 예약어)는 변수명으로 사용 불가(ex
<실습>
age=30
name="홍길동"
print(age, name)
age=40
print(age,name) 하면 age는 40과, 홍길동이 출력됨
8. 주석 : 프로그램은 실행과 무관함/ 실행되지 않음
# 한줄 코드
명령문 # 보충 설명
.....
여러 줄
코드
.....
print("파이썬은")
# print("처음에는")
print("쉽고 재미있어요")
실행결과
파이썬은
쉽고 재미있어요
→ # print("처음에는") 프로그램에서 실행되지 않음